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는 2007년에 출범한 아제르바이잔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1992년에 시작된 톱 디비전을 프로화하여 개편한 것이다. 현재 8개 팀이 추춘제로 운영되며, 네프치 바쿠가 7번의 리그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리그 중단 사태가 있었지만, 이후 안정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UEFA 챔피언스 리그 및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진출권을 부여하며 유럽 클럽 대항전에도 참여하고 있다. 리그는 클럽의 재정 문제와 관중 동원, 스폰서십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으며, CBC Sport, Laola1 등 여러 방송사를 통해 중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 축구에 관한 - 네프치 PFK
네프치 PFK는 1937년 바쿠에서 창단된 아제르바이잔의 축구 클럽으로,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에서 9회 우승을 차지하고 2012-13 UEFA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 축구에 관한 - 가라바흐 FK
1950년 창설되어 아그담을 연고로 하였으나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바쿠로 이전한 가라바흐 FK는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11회 우승, 아제르바이잔 컵 8회 우승을 기록하며 아제르바이잔을 대표하는 축구 클럽 중 하나이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J1리그
J1리그는 1965년 일본 사커 리그로 시작하여 1993년 프로 리그로 출범한 일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2024년 기준 20개 팀이 참가하고, 상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하위 팀은 J2리그로 강등된다.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아제르바이잔 |
연맹 | UEFA |
창립 연도 | 1992년 |
참가 팀 수 | 10 |
강등 | 1부 리그 |
리그 단계 | 1 |
리그 시스템 | 아제르바이잔 축구 리그 시스템 |
국내 컵 대회 | 아제르바이잔 컵 |
대륙 컵 대회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최근 우승팀 | 카라바흐 (11회 우승) |
최근 시즌 | 2023–24 시즌 |
최다 우승팀 | 카라바흐 (11회 우승) |
TV 방송사 | CBC Sport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4-25 시즌 |
명칭 | |
아제르바이잔어 | Azərbaycan Premyer Liqası (아제르바이잔 프레미예르 리가스) |
다른 아제르바이잔어 명칭 | Yüksək Liqa (윅세크 리가) |
2. 역사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는 2007년에 발족했으며, 1992년에 발족한 톱 디비전(Yüksək Liqaaz)을 프로화하여 발전시킨 리그이다. 리그는 추춘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1992년 시작 당시에는 8개 팀이었으나 현재는 1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네프치 바쿠가 7번 리그를 제패했다.[47]
2002년 4월, 아제르바이잔 축구 연맹 협회와 클럽 간의 관계 악화로 리그전이 중단되었으나,[48] 2003년 5월, 약 400일 만에 재개되었다.[48]
2009-10 시즌에는 14개 팀에서 12개 팀으로 축소되면서 2단계 제도가 도입되었다. 12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총 22경기를 치르는 퍼스트 라운드를 거친 후, 상위 6개 팀(챔피언십 그룹)과 하위 6개 팀(Relegation 그룹)으로 나뉘어 총 10경기를 치르는 세컨드 라운드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단, 첫 시즌에는 퍼스트 라운드 성적 중 세컨드 라운드에서 같은 그룹에 속한 팀과의 성적만 반영되어 총 20경기로 순위를 결정했다.
2013-14 시즌부터는 10개 팀으로 축소되어 각 팀이 4번씩 맞붙어 총 36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2009-10 시즌부터 도입되었던 2단계 제도는 폐지되었다. 2013-14 시즌에는 프리미어 리그 최하위 팀이 2부 리그로 자동 강등되고, 2부 리그 우승팀이 프리미어 리그로 자동 승격된다.
2. 1. 창설과 초기 (1992-2000년대 초)
리그는 네프치, 카파즈, 투란 토부즈, 샴키르와 같은 팀들이 주도했다. 그러나 재정적인 어려움은 지역 클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고, 하자리 부조브나, 샴키르, 빌라시 마살리, 샤파 바쿠와 같은 대부분의 팀들은 부채 증가로 인해 파산했다.[1] 1997년, 카파즈는 무패 행진으로 유명했는데, 1997-98 시즌에서 26경기 중 22승 4무 0패의 기록을 세웠다. 이는 아제르바이잔 리그 어떤 팀도 한 시즌 동안 기록하지 못한 무패 행진이었다.[26]새로운 세기에 접어들면서, 네프치는 하자르 란카란, 인테르 바쿠, 바쿠와 같은 새로운 도전자들과 맞서게 되었다. 2002년에는 아제르바이잔 축구 연맹과 국내 최상위 클럽 다수 간의 오랜 갈등으로 UEFA가 2년간 제재를 가하면서 아제르바이잔 축구계에 큰 타격이 가해졌다.[2] 이 갈등으로 인해 국내 선수권 대회가 중단되었고, 주요 클럽들은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에서 뛰는 것을 막았으며, 세무 당국은 아제르바이잔 연맹의 사기 혐의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3]
2. 2. 안정화와 발전 (2000년대 후반-현재)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네프치는 하자르 란카란, 인테르 바쿠, 바쿠와 같은 새로운 팀들의 도전을 받았다.[2] 2002년에는 아제르바이잔 축구 연맹과 최상위 클럽들 간의 갈등으로 UEFA가 2년간 제재를 가하면서 아제르바이잔 축구는 큰 타격을 입었다.[2] 이로 인해 국내 리그가 중단되고, 선수들의 국가대표팀 출전이 금지되었으며, 세무 당국은 연맹의 사기 혐의를 조사했다.[3]아가셀림 미르자바도프 감독 하에 하자르 란카란은 2006년과 2007년 아제르바이잔 컵에서 우승했고, 2006-07 시즌 리그 챔피언이 되었다. FK 카라바흐는 2009-10 시즌과 2010-11 시즌에 아제르바이잔 팀 최초로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에 진출했다.

2010년대에 네프치는 6년 만에 챔피언 자리에 올랐고,[4][5] 다음 시즌에도 우승을 차지하며 7번째 우승을 기록했다.[6][7] 2012년, 네프치 바쿠는 아제르바이잔 팀 최초로 유럽 대회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8] 2012–13 시즌에는 3연패를 달성했다.[9][10] 2013–14 시즌에는 카라바흐가 21년 만에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한 후,[11] 계속해서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4년, 카라바흐는 유럽 대회 조별 리그에 진출한 두 번째 아제르바이잔 팀이 되었다.[12] 2017년에는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20년 6월 19일, AFFA는 아제르바이잔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19–20 시즌이 조기 종료되었다고 발표했다.[13] 그 결과, 카라바흐가 7시즌 연속 챔피언으로 결정되어 2020–21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을 얻었고, 네프치, 케슬라, 수므가이트는 2020–21 UEFA 유로파 리그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13]
3. 리그 구성
2024-25 시즌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에는 다음 8개 클럽이 참가할 예정이다.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26개 팀으로 시작하여, 2016년부터 현재까지 8개 팀으로 운영되고 있다. 리그 참가 팀 수는 아래 표와 같이 변화해 왔다.
년도 | 참가 팀 수 |
---|---|
1992 | 26 |
1993 | 20 |
1993 – 1994 | 16 |
1994 – 1995 | 13 |
1995 – 1996 | 11 |
1996 – 1997 | 16 |
1997 – 1998 | 15 |
1998 – 1999 | 14 |
1999 – 2000 | 12 |
2000 – 2001 | 11 |
2001 – 2002 | 12 |
2003 – 2004 | 14 |
2004 – 2005 | 18 |
2005 – 2006 | 14 |
2006 – 2007 | 13 |
2007 – 2009 | 14 |
2009 – 2013 | 12 |
2013 – 2014 | 10 |
2014 – 2015 | 9 |
2015 – 2016 | 10 |
2016 – 현재 | 8 |
3. 1. 경기 방식
대회 형식은 일반적인 더블 리그전 방식을 따른다. 8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는 시즌 동안 각 클럽은 서로 4번씩, 홈에서 2번, 원정에서 2번 경기를 치르며 총 28경기를 치른다.[14] 팀은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받는다. 팀은 총 점수로 순위가 매겨지며, 시즌 종료 시 최고 순위의 클럽이 챔피언이 된다.2022-23 시즌부터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는 10개 팀으로 확대되었다.[15]
다음은 리그 역사 전체에서 각 시즌별로 몇 개의 팀이 참가했는지에 대한 기록이다.
시즌 | 참가 클럽 수 |
---|---|
1992 | 26 |
1993 | 20 |
1993-94 | 16 |
1994-95 | 13 |
1995-96 | 11 |
1996-97, 1997-98 | 16 |
1998-99 | 14 |
1999-00 | 12 |
2000-01 | 11 |
2001-02 | 12 |
2003 | 15 |
2003-04 | 14 |
2004-05 | 18 |
2005-06~2008-09 | 14 |
2009-10~2012-13 | 12 |
2013-14~2015-16 | 10 |
2016-17~2021-22 | 8 |
2022-23~현재 | 10 |
3. 2. 참가 클럽 (2024-25 시즌)
2024-25 시즌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에는 10개의 클럽이 참가한다. 참가 클럽은 다음과 같다.클럽명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 인원[49] |
---|---|---|---|
가발라 | 가발라 | 가발라 시티 스타디움 | 3500명 |
카파즈 | 간자 | 간자 스타디움 | 27000명 |
네프치 바쿠 | 바쿠 | 박셀 아레나 | 11000명 |
카라바흐 | 아그담 | 아제르순 아레나 | 5200명 |
사바흐 | 마사즐 | 알리냐 아레나 | 13000명 |
사바일 | 바쿠 | ASCO 아레나 | 3200명 |
샤마키 | 샤마키 | 샤마키 스타디움 | 2000명 |
숨가이트 | 숨가이트 | 카피탈 뱅크 아레나 | 1400명 |
투란 토부즈 | 토부즈 | 토부즈 스타디움 | 6800명 |
지라 | 지라, 바쿠 | 지라 올림픽 스포츠 콤플렉스 스타디움 | 1300명 |
참고: 카라바흐는 아그담을 연고로 하지만,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으로 인해 홈 경기를 바쿠에서 치른다.
3. 3.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며, 2위와 3위 팀은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에 진출한다. 2020-21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시즌 시작 기준으로,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 예선에 진출하고, 준우승팀과 3위 팀은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 예선에 진출한다. 아제르바이잔 컵 우승팀에게는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 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 만약 아제르바이잔 컵 우승팀이 리그 순위로 이미 유럽 대회 진출 자격을 얻었다면, 리그에서 그 다음으로 높은 순위에 있는 클럽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4. 역대 기록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01-02 시즌과 2002-03 시즌에는 아제르바이잔 축구 연맹과 클럽 간의 갈등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거나 리그 챔피언십이 열리지 않았다.[17][18]
'''역대 최다 득점자 TOP 10'''[21]
순위 | 선수 | 활동 기간 | 클럽[24] | 경기 |
---|---|---|---|---|
1 | 라히드 아미르굴리예프 | 2005–23 | 하자르 란카란 | 451 |
2 | 마흐무드 구르바노프 | 1992–12 | 카파즈 | 421 |
3 | 라샤드 사디고프 | 1998–21 | 네프치 | 392 |
4 | 아제르 맘마도프 | 1992–12 | 카파즈 | 388 |
5 | 아시프 맘마도프 | 2004– | 가발라 | 388 |
6 | 아슬란 케리모프 | 1992–11 | 카라바흐 | 382 |
7 | 라샤드 압둘라예프 | 1994–17 | 하자르 란카란 | 378 |
8 | 막심 메드베데프 | 2006-24 | 카라바흐 | 376 |
9 | 엘빈 맘마도프 | 2005–2023 | 바쿠 | 376 |
10 | 부르군 후세이노프 | 2005–24 | 숨가이트 | 368 |
- 최고 점수차 홈 경기: 카파즈 14–2 샴키르 (1997–98)[25]
- 최다 무패 경기: 카파즈, 30경기, 1997–98[26]
- 최연소 득점자: 오르칸 알리예프, 숨가이트 소속으로 가발라전에서 15세 236일[27]
- 최고령 선수: 나디르 슈쿠로프, 카르반 소속으로 무간전에서 42세 (2009년 4월 19일)[28]
- 역대 최다 득점자: 나짐 알리예프 (183골)
- APL 최다 출전 선수: 마흐무드 구르바노프 (421경기)
- 한 시즌 최다 득점: 나짐 알리예프 (39골, 1992년)
4. 1. 역대 우승 클럽
시즌 | 우승팀 | 준우승팀 | 3위 | 득점왕 |
---|---|---|---|---|
1992 | 네프치 | 하자르 숨가이트 | 투란 | Nazim Əliyev|나짐 알리예프az (하자르 숨가이트, 39골) |
1993 | 카라바흐 | 하자르 숨가이트 | 투란 | Samir Ələkbərov|사미르 알라크바로프az (네프치, 16골) |
1993–94 | 투란 | 카라바흐 | 카파즈 | Musa Qurbanov|무사 구르바노프az (투란, 35골) |
1994–95 | 카파즈 | 투란 | 네프치 | Nazim Əliyev|나짐 알리예프az (네프치, 26골) |
1995–96 | 네프치 | 하자리 부조브나 | 카파즈 | Fazil Pərvərov|파질 파르바로프az (카파즈, 23골) / Rövşən Əhmədov|로브샨 아마도프az (카파즈, 23골) |
1996–97 | 네프치 | 카라바흐 | 하자리 부조브나 | Qurban Qurbanov|구르반 구르바노프az (네프치, 34골) |
1997–98 | 카파즈 | 바쿠 | 샴키르 | Nazim Əliyev|나짐 알리예프az (바쿠, 23골) |
1998–99 | 카파즈 | 샴키르 | 네프치 | Alay Bəhramov|알라이 바흐라모프az (빌레시 마살리, 24골) |
1999–00 | 샴키르 | 카파즈 | 네프치 | Badri Kvaratsxeliya|바드리 크바라츠켈리아az (샴키르, 16골) |
2000–01 | 샴키르 | 네프치 | 빌라시 마살리 | Paşa Əliyev|파샤 알리예프az (바킬리 바쿠, 12골) |
2001–02 | (아제르바이잔 축구 연맹과 클럽 간의 갈등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었고 결과는 고려되지 않음) | |||
2002–03 | (아제르바이잔 축구 연맹과 클럽 간의 갈등으로 인해 리그 챔피언십이 열리지 않음) | |||
2003–04 | 네프치 | 샴키르 | 카라바흐 | Samir Musayev|사미르 무사예프az (카라바흐, 20골) |
2004–05 | 네프치 | 하자르 란카란 | 카르반 | Zaur Ramazanov|자우르 라마자노프az (카르반, 21골) |
2005–06 | 바쿠 | 카르반 | 네프치 | Yacouba Bamba|야쿠바 밤바프랑스어 (카르반, 16골) |
2006–07 | 하자르 란카란 | 네프치 | 바쿠 | Zaur Ramazanov|자우르 라마자노프az (하자르 란카란, 20골) |
2007–08 | 인터 바쿠 | AZAL | 네프치 | Xaqani Məmmədov|카가니 마마도프az (인터 바쿠, 19골) |
2008–09 | 바쿠 | 인터 바쿠 | 시무르크 | Walter Guglielmone|발테르 구글리엘모네es (인터 바쿠, 17골) |
2009–10 | 인터 바쿠 | 바쿠 | 카라바흐 | Fərid Quliyev|파리드 굴리예프az (스탠다드 바쿠, 16골) |
2010–11 | 네프치 | 하자르 란카란 | 카라바흐 | Giorgi Adamia|게오르기 아다미아ka (카라바흐, 18골) |
2011–12 | 네프치 | 하자르 란카란 | 인터 바쿠 | Bahodir Nasimov|바호디르 나시모프uz (네프치, 16골) |
2012–13 | 네프치 | 카라바흐 | 인터 바쿠 | Nicolás Canales|니콜라스 카날레스es (네프치, 26골) |
2013–14 | 카라바흐 | 인터 바쿠 | 가발라 | Reynaldo|레이날도pt (카라바흐, 22골) |
2014–15 | 카라바흐 | 인터 바쿠 | 가발라 | Nurlan Novruzov|누르란 노브루조프az (바쿠, 15골) |
2015–16 | 카라바흐 | 지라 | 가발라 | Dani Quintana|다니 킨타나es (카라바흐, 15골) |
2016–17 | 카라바흐 | 가발라 | 인터 바쿠 | Filip Ozobić|필리프 오조비치hr (가발라, 11골) & Rauf Əliyev|라우프 알리예프az (인터 바쿠, 11골) |
2017–18 | 카라바흐 | 가발라 | 네프치 | Bagaliy Dabo|바갈리 다보프랑스어 (가발라, 13골) |
2018–19 | 카라바흐 | 네프치 | 사바일 | Mahir Mədətov|마히르 마다토프az (카라바흐, 16골) |
2019–20 | 카라바흐 | 네프치 | 케슐라 | Peyman Babaei|페이만 바바에이fa (숨가이트, 7골) & Steven Joseph-Monrose|스티븐 조셉-몬로즈프랑스어 (네프치, 7골) & Bagaliy Dabo|바갈리 다보프랑스어 (네프치, 7골) & Mahir Emreli|마히르 엠렐리az (카라바흐, 7골) |
2020–21 | 네프치 | 카라바흐 | 숨가이트 | Namiq Ələsgərov|나미크 알라스카로프az (네프치, 19골) |
2021–22 | 카라바흐 | 네프치 | 지라 | Kadi|카디pt (카라바흐, 12골) |
2022–23 | 카라바흐 | 사바 | 네프치 | Ramil Şeydayev|라밀 세이다예프az (카라바흐, 22골) |
2023–24 | 카라바흐 | 지라 | 사바 | Juninho|주니뉴pt (카라바흐, 20골) |
클럽 | 우승 | 준우승 | 3위 | 우승 연도 |
---|---|---|---|---|
카라바흐 | 11 | 4 | 4 | 199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1–22, 2022–23, 2023–24 |
네프치 | 9 | 5 | 7 | 1992, 1995–96, 1996–97, 2003–04, 2004–05, 2010–11, 2011–12, 2012–13, 2020–21 |
카파즈 | 3 | 1 | 2 | 1994–95, 1997–98, 1998–99 |
샤마키 | 2 | 3 | 4 | 2007–08, 2009–10 |
샴키르 | 2 | 2 | 1 | 1999–00, 2000–01 |
바쿠 | 2 | 2 | 1 | 2005–06, 2008–09 |
하자르 란카란 | 1 | 3 | – | 2006–07 |
투란 토부즈 | 1 | 1 | 2 | 1993–94 |
가발라 | – | 2 | 3 | – |
지라 | – | 2 | 1 | – |
하자르 숨가이트 | – | 2 | 0 | – |
사바흐 | – | 1 | 1 | – |
카르반 | – | 1 | 1 | – |
하자리 부조브나 | – | 1 | 1 | – |
AZAL | – | 1 | – | – |
사바일 | – | – | 1 | – |
시무르크 | – | – | 1 | – |
숨가이트 | – | – | 1 | – |
빌레시 마살리 | – | – | 1 | – |
4. 2.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 준우승 | 3위 | 우승 연도 |
---|---|---|---|---|
네프치 바쿠 | 9 | 5 | 6 | 1992, 1995-96, 1996-97, 2003-04, 2004-05, 2010-11, 2011-12, 2012-13, 2020-21 |
FK 카라바흐 | 9 | 4 | 3 | 199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1-22 |
카파즈 PFC | 3 | 1 | 2 | 1994-95, 1997-98, 1998-99 |
FK 샴키르 | 2 | 2 | 1 | 1999-00, 2000-01 |
케슐라 FK | 2 | 3 | 4 | 2007-08, 2009-10 |
FC 바쿠 | 2 | 2 | 1 | 2005-06, 2008-09 |
하자르 렌코란 | 1 | 3 | 0 | 2006-07 |
투란 토부즈 | 1 | 1 | 2 | 1993-94 |
가발라 | 0 | 2 | 3 | |
하자르 스무가이트 | 0 | 2 | 0 | |
카즐리 부조브나 | 0 | 1 | 1 | |
FK 카르반 | 0 | 1 | 1 | |
지라 | 0 | 1 | 1 | |
AZAL | 0 | 1 | 0 | |
심루그 | 0 | 0 | 1 | |
빌라시 마사리 | 0 | 0 | 1 | |
스무가이트 | 0 | 0 | 1 |
4. 3. 역대 득점왕
시즌 | 선수 | 소속 | 득점 |
---|---|---|---|
1992 | 나짐 알리예프 | 하자르 숨가이트 | 39 |
1993 | 사미르 알라크바로프 | 네프치 | 16 |
1993-94 | 무사 구르바노프 | 투란 토부즈 | 35 |
1994-95 | 나짐 알리예프 | 네프치 | 27 |
1995-96 | 나짐 알리예프 | 네프치 | 23 |
1996-97 | 구르반 구르바노프 | 네프치 | 25 |
1997-98 | 나짐 알리예프 | 바쿠 | 23 |
1998-99 | 알라이 바흐라모프 | 빌레시 마살리 | 24 |
1999-00 | ბადრი კვარაცხელია|바드리 크바라츠헬리아ka | 샴키르 | 16 |
2000-01 | 파샤 알리예프 | 바킬리 바쿠 | 12 |
2001-02 | [17] | ||
2002–03 | [18] | ||
2003-04 | 사미르 무사예프 | 카라바흐 | 20 |
2004-05 | 자우르 라마자노프 | 카르반 | 21 |
2005-06 | 야쿠바 밤바 | 카르반 | 16 |
2006-07 | 자우르 라마자노프 | 하자르 란카란 | 20 |
2007-08 | 카가니 마마도프 | 인터 바쿠 | 19 |
2008-09 | 발테르 구글리엘모네 | 인터 바쿠 | 17 |
2009-10 | 파리드 굴리예프 | 스탠다드 바쿠 | 16 |
2010-11 | 게오르기 아다미아 | 카라바흐 | 18 |
2011-12 | 바호디르 나시모프 | 네프치 | 16 |
2012-13 | 니콜라스 카날레스 | 네프치 | 26 |
2013-14 | 레이날도 | 카라바흐 | 22 |
2014-15 | 누르란 노브루조프 | 바쿠 | 15 |
2015-16 | 다니 킨타나 | 카라바흐 | 15 |
2016-17 | 필리프 오조비치 라우프 알리예프 | 가발라 인터 바쿠 | 11 |
2017-18 | 바갈리 다보 | 가발라 | 13 |
2018-19 | 마히르 마다토프 | 카라바흐 | 16 |
2019-20 | 페이만 바바에이 스티븐 조셉-몬로즈 바갈리 다보 마히르 엠렐리 | 숨가이트 네프치 네프치 카라바흐 | 7 |
2020-21 | 나미크 알라스카로프 | 네프치 | 19 |
2021-22 | 카디 | 카라바흐 | 12 |
2022-23 | 라밀 세이다예프 | 카라바흐 | 22 |
2023-24 | 주니뉴 | 카라바흐 | 20 |
4. 4. 기타 기록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선수들은 매 시즌 득점왕에게 주어지는 골든 부트를 놓고 경쟁한다. 나짐 알리예프는 1992 시즌 39골을 포함하여 통산 183골로 리그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20] 1995-96 시즌에 그는 프리미어 리그 100골을 최초로 돌파했으며, 이후 10명의 다른 선수들이 100골을 달성했다.[20]'''역대 최다 득점자 TOP 10'''[21]
순위 | 선수 | 활동 기간 | 클럽[24] | 경기 |
---|---|---|---|---|
1 | 라히드 아미르굴리예프 | 2005–23 | 하자르 란카란 | 451 |
2 | 마흐무드 구르바노프 | 1992–12 | 카파즈 | 421 |
3 | 라샤드 사디고프 | 1998–21 | 네프치 | 392 |
4 | 아제르 맘마도프 | 1992–12 | 카파즈 | 388 |
5 | 아시프 맘마도프 | 2004– | 가발라 | 388 |
6 | 아슬란 케리모프 | 1992–11 | 카라바흐 | 382 |
7 | 라샤드 압둘라예프 | 1994–17 | 하자르 란카란 | 378 |
8 | 막심 메드베데프 | 2006-24 | 카라바흐 | 376 |
9 | 엘빈 맘마도프 | 2005–2023 | 바쿠 | 376 |
10 | 부르군 후세이노프 | 2005–24 | 숨가이트 | 368 |
- 최고 점수차 홈 경기: 카파즈 14–2 샴키르 (1997–98)[25]
- 최다 무패 경기: 카파즈, 30경기, 1997–98[26]
- 최연소 득점자: 오르칸 알리예프, 숨가이트 소속으로 가발라전에서 15세 236일[27]
- 최고령 선수: 나디르 슈쿠로프, 카르반 소속으로 무간전에서 42세, 2009년 4월 19일[28]
- 역대 최다 득점자: 나짐 알리예프 (하자르 숨가이트, 네프치, 카라바흐, 샤파 바쿠, 디나모 바쿠), (183골)
- APL 최다 출전 선수: 마흐무드 구르바노프, 421
- 한 시즌 최다 득점: 나짐 알리예프 (하자르 숨가이트), (39골), 1992
5. 재정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가 시작된 이후, 소속 클럽 중 5개가 파산 관재에 들어갔으며, 거의 20개 클럽이 해산되었다.[45][46] 경기 티켓 판매 및 클럽 상품 판매 수입 감소는 클럽 지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선수들에게는 임금 삭감을 고려해 달라는 요청이 있었고, 팀 선수단 규모가 축소되었다.
2000년대 중반 프리미어리그에 대한 주요 비판은 프리미어리그와 1부 리그 사이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었다. 일부 클럽이 다른 프리미어리그 클럽보다 더 많은 돈을 쓸 수 있게 되면서, 클럽 간의 격차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었다. 샴키르, 카르반, 압셰론, MKT-아라즈를 포함하여 상위 리그로 즉시 승격하는 데 실패한 일부 클럽은 파산 관재 또는 해산을 포함한 재정적 문제에 직면했다.